본문 바로가기

Artificial Intelligence

(3)
AI로 만든 가짜뉴스가 당신의 한 표를 바꿔놓을 수 있다?! 당장 4월 총선부터 위험하다. 인공지능(AI) 기술의 발달이 우리의 일상에 혁신을 가져오고 있지만, 동시에 우려되는 부분도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최근 AI를 활용해 정교한 가짜뉴스를 생성하는 것이 매우 쉬워졌다. 이런 추세라면 다가오는 4월 총선에서부터 AI 가짜뉴스가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AI로 만들어진 딥페이크 영상이나 조작된 이미지, 그럴듯한 허위 기사 등이 유권자들을 교묘하게 현혹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일부 악의적인 세력이 특정 후보에게 유리한 가짜뉴스를 대량으로 생산하고 확산시킨다면, 선거 판세를 뒤흔들 수도 있는 것이다. 최근 챗GPT를 개발한 오픈AI에서 단 15초만이라도 한 사람의 목소리를 들려주면 그 사람이 말하는 목소리와 말투를 그대로 따라하는 인공지능을 발표했다. 아래는 해당 인공지능 ..
[책소개] 커즈와일의 <Singularity is Near> "Singularity is Near"는 미래학자이자 발명가인 Ray Kurzweil이 2005년에 출간한 책이다. 이 책에서 Kurzweil은 기술적 특이점(Technological Singularity)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기술적 특이점이란 인공지능(AI)이 인간의 지능을 초월하는 시점을 의미하며, Kurzweil은 이 시점이 가까웠음을 주장한다. https://en.wikipedia.org/wiki/The_Singularity_Is_Near The Singularity Is Near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2005 non-fiction book by Ray Kurzweil The Singularity Is Near..
인공지능의 창작활동, 능률을 높여줄지 아니면 사람을 대체할지?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하면서 본격적으로 미술, 글쓰기, 코딩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사례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모두가 인공지능의 유용성에 대해 관심을 갖는 가운데, 구체적인 적용 사례를 몇 가지 소개하고자 한다. 가장 먼저 소개할 사례를 그림을 그리는 예술활동에서 인공지능이 제작한 작품이 수상한 경우이다. 2022년에 열린 콜로라도 주립 박람회 디지털 아트 부문에서 제이슨 앨런은 AI 프로그램 미드저니(Midjourney)를 사용해 만든 작품으로 1등을 수상했다. AI 생성 예술은 수년 전부터 있었지만, 올해 출시된 도구들로 인해 아마추어도 쉽게 복잡한 작품을 만들 수 있게 되면서 인간 예술가들의 미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 AI 아트에 대한 찬반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앨런은 AI 기술 자체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