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언어모형 (3) 썸네일형 리스트형 GPT-4, 데이터 분석가로서의 가능성을 조명하다 GPT-4와 같은 거대언어모형(Large Language Model, LLM)의 등장으로 인공지능이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도 GPT-4가 전문 데이터 분석가를 대체할 수 있을지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아래 논문의 연구진들은 GPT-4를 데이터 분석가처럼 활용해 end-to-end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다양한 도메인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GPT-4에게 비즈니스 질문을 던지고, 이에 맞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시각화하며 인사이트를 도출하도록 했다. https://arxiv.org/pdf/2305.15038.pdf?utm_source=www.theneurondaily.com&utm_medium=newslett.. [1부] 거대언어모형 비교: 오픈AI, 구글, 앤스로픽 오픈AI에서 챗GPT가 엄청난 관심을 끌기 시작한 이후로 다양한 언어모형이 등장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여전히 챗GPT가 가장 뛰어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는 하지만, 다른 기업의 언어모형도 지속적으로 발전을 거듭하는 중이다. 현재 사용 가능한 주요 언어모형은 다음과 같다 (수월한 검색을 위해 괄호에는 영문명 표기): 오픈AI 챗GPT-4 (OpenAI ChatGPT-4) 앤스로픽 클로드3 (Anthropic Claude 3) 구글 제미나이 (Google Gemini Advanced) 메타 라마2 (Meta Llama 2) xAI 그록 (xAI Grok) 그 외 다양한 오픈소스 모형이 있지만 다음에 소개하도록 하고, 이번 글에서는 챗GPT, 클로드3, 제미나이를 비교해보도록 한다. 1. 글쓰기 챗.. 인공지능 거대언어모형 앤스로픽의 클로드3 (Anthropic Claude 3) 챗GPT가 전 세계의 이목을 끌고 있는 가운데, 인공지능 기업 클로드(Claude)에서 새로운 언어모형 클로드3를 출시했다. https://claude.ai/login?returnTo=%2F Claude claude.ai 앤스로픽은 오픈AI에 있던 직원들이 나와서 새롭게 만든 회사로서, 현재 오픈AI와 함께 가장 앞서나가는 (언어모형) 인공지능 기업 중 하나이다. 다양한 비교를 거친 결과 클로드3는 다양한 분야에서 챗GPT-4와 비슷한 성능을 보인다. 특히 글쓰기에 더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코딩 작업에서는 여전히 챗GPT-4가 더 나은듯 하다. 물론 수학문제는 둘 다 아직 믿을만한 수준은 아니다. 클로드3를 시험해보고자 인류의 미래에 대해 물어보았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답변을 얻었다. 클로드3.. 이전 1 다음